오늘은 농경사회에서 중요시되어 온 우리나라의 절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절의 구분은 태양의 위치에 따라서 구분을 하고 봄, 여름, 가을, 겨울 각 계절마다 6개의 절기로 나누게 됩니다.
24절기의 양력으로 음력 유래와 계절별로 절기의 의미와 해당 날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24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단, 추석, 설날, 단오 등은 음력을 기준으로 날짜가 정해짐을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 계절을 구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황경이 0도인 날이 춘분이 되고
15도씩 이동될 때마다 새로운 절기가 됩니다. 24절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을 각각 6등분 하다 보니 양력을 기준으로 한 달에 2번의 절기가 돌아오게 되는데요. 서양에서는 7일을 기준으로 생활을 하지만 우리 나라와 기타 나라는 24절기를 통해 15일을 생활패턴으로 삼았고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일조량과 강수량 그리고 기온을 예측해서 농사를 지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글 목차
1. 24절기 중 봄의 절기
1) 입춘(立春)
양력으로 2월 4일 또는 5일, 대한과 우수 사이에 있으며 입춘이라는 말 그대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봄의 계절에 들어선다는 뜻의 절기이지만 2월 초이기 때문에 아직은 추울 때입니다.
또한 음력으로 정월의 절기에 해당됩니다. 황경이 315도에 왔을 때가 입춘이 되며 선조님들은 마치 연초처럼 여겨져 입춘대길이라는 글을 써서 대문에 붙였고 입춘굿(지신굿)을 해서 한 해의 액운을 막고자 했다고 합니다.
2) 우수(雨水)
양력으로 2월 28일 또는 2월 19일, 얼음이 녹고 초목에 싹이 튼다는 뜻입니다. 비가 내리고 얼음이 녹으면서 물이 된다는 뜻으로 날씨가 제법 많이 풀리고 봄비가 내리고 싹이 트는 시기로 봄이 다가왔음을 느낄 수 있는 시기입니다.
3) 경칩(驚蟄)
양력으로 3월 5일 또는 6일, 우수와 춘분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벌레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뜻입니다. 흔히 경칩을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나는 절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제 봄이 왔음을 체감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이 시기에도 아직은 날씨는 제법 쌀쌀합니다. 황경은 345도에 와 있을 때입니다.
4) 춘분(春分)
양력으로 3월 20일 또는 3월 21일, 경칩과 청명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시기이며 춘분을 기준으로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하는 절기입니다.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이기 때문에 이날은 적경, 적위, 황경, 황위가 모두 0도입니다. 기온이 급격히 오르는 시기이기 때문에 농부의 손이 가장 바빠지는 때이기도 합니다.
5) 청명(淸明)
양력으로 4월 4일 또는 4월 5일,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라는 뜻이며 한식과 겹치게 되거나 하루 차이가 나게 되는데요. 이것 때문에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라는 속담이 생겨나기도 했습니다.
청명에 날씨가 좋으면 그해 농사가 잘되고 반대로 좋지 않으면 농사가 잘되지 않는다며 청명의 날씨에 따라서 날씨를 점치기도 했다고 합니다. 황경이 15도에 와 있을 때로 한식 전날이거나 혹은 한식이나 식목일과 겹치기도 합니다. 본격적인 농사철이 되어 채소의 파종을 하거나 보리밭을 매고 논밭둑을 다지는 등 농촌이 매우 바빠지게 되는 절기입니다.
6) 곡우(穀雨)
양력으로 4월 20일 또는 4월 21일, 청명과 입하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입니다. 곡우에 비가 내리면 풍년이 든다 라는 속담도 있듯이 곡우에 내리는 비는 그해에 농사가 잘되며 반대로 비가 오지 않으면 농사를 망친다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봄의 마지막 절기로 황경이 30도에 와 있을 때이며 봄비가 내려 백곡이 윤택해진다는 뜻입니다.
2. 24절기 중 여름의 절기
7) 입하(立夏)
양력으로 5월 5일 또는 5월 6일, 곡우와 소만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여름의 시작을 알린다는 뜻입니다. 개구리울음소리가 들리고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고 밭에서 보리 이삭이 패기 시작하는 절기입니다. 황경은 45도에 있습니다.
8) 소만(小滿)
양력으로 5월 21일 또는 5월 22일, 입하와 망종 사이의 절기입니다.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뜻입니다.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되어 모내기를 하기 위해 바빠지는 시기입니다.
음력으로는 4월 중이며 황경은 약 60도입니다. 본격적인 여름철이 되어 모내기가 시작되고 잡초를 제거하는 등 바쁜 시기로 만물이 성장을 해서 가득 찬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9) 망종(芒種)
양력으로 6월 5일 또는 6월 6일, 소만과 하지 사이의 절기입니다. 곡식의 씨를 뿌린다는 뜻입니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이 있듯이 망종이 되기 전에 보리를 모두 베어놓아야 논에 벼를 심고 다른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됩니다.
이때는 황경이 75도쯤에 있으며 망종에는 한 해 농사가 잘 되기를 빌었다고 하네요.
10) 하지(夏至)
6월 21일 또는 6월 22일, 망종과 소서 사이의 절기입니다. 1년 중에서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날입니다. 하지부터 시작해서 동지가 될 때까지 낮의 길이가 점점 짧아집니다. 하지 무렵부터 날씨가 더워지기 시작하고 장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이때는 태양이 가장 높게 떠서 낮의 길이가 가장 깁니다. 태양이 황도상에서 가장 북쪽에 있어 이를 하지점이라고 부릅니다.
11) 소서(小暑)
양력으로 7월 7일 또는 7월 8일, 하지와 대서 사이의 절기입니다. 작은 더위라는 의미로 더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 심는다 라는 속담이 있는데 소서가 지나기 전에 모내기를 끝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장마철에 해당이 됩니다. 황경은 105도에 위치해 있습니다. 하지에 모내기를 끝내고 나면 모가 뿌리를 내리는 시기이며 습도가 높고 많은 비가 내리기도 합니다.
12) 대서(大暑)
양력으로 7월 22일 또는 7월 23일, 소서와 입추 사이의 절기입니다. 큰 더위라는 의미로 더위가 절정에 달하여 가장 기승을 부리는 시기입니다. 삼복중에 하나인 중복과 비슷한 시기의 절기이며 보통 대서 무렵에 여름 장마가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황경은 약 120도에 해당됩니다.
3. 24절기 중 가을의 절기
13) 입추(立秋)
양력으로 8월 7일 또는 8월 8일, 대서와 처서 사이의 절기입니다. 가을의 시작을 알린다는 뜻입니다.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어 겨울 김장에 대비를 하는 시기이며 입추의 날씨로 한 해 농사를 점치는 절기이기도 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135도에 위치해 있으며 늦더위가 남아 있지만 선선한 바람이 부는 때이기도 합니다.
14) 처서(處暑)
8월 23일 또는 8월 24일, 입추와 백로 사이의 절기입니다. 여름이 지나고 더위가 어느 정도 가신 후 가을을 맞이한다는 뜻입니다. 각종 곤충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처서에 날씨가 좋아야 농사가 잘 된다고 믿기도 하였습니다.
아침저녁으로 가을바람이 불어오며 황경은 150도에 있습니다. 처서가 지나면 더 이상 풀도 자라지 않고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고 합니다.
15) 백로(白露)
양력으로 9월 7일 또는 9월 8일, 처서와 추분 사이의 절기입니다. 흰 이슬이라는 의미로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는 시기를 뜻합니다. 백로에 바람이 많이 불면 벼농사에 안 좋다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이때는 일조량이 많아 곡식이 마지막으로 잘 익어가는 때입니다. 황경은 165도 정도에 있으며 완연한 가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6) 추분(秋分)
양력으로 9월 23일 또는 9월 24일, 백로와 한로 사이의 절기입니다. 춘분과 같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시기이며 활도와 적도가 교차하는 절기입니다. 추분에 바람이 부는 것을 보고 내년의 농사를 점치기도 했습니다.
태양이 북에서 남으로 천구의 적도와 황도가 만나는 곳을 추분점이라고 하였습니다.
17) 한로(寒露)
양력으로 10월 8일 또는 10월 9일, 추분과 상강 사이의 절기입니다. 차가운 이슬이라는 의미이며 이슬이 서리로 변하기 직전이라는 뜻입니다. 여름철새와 겨울철새가 교체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농사에 있어서는 오곡백과를 수확하는 시기이고 단풍색이 짙어지고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가 되는 때입니다.
18) 상강(霜降)
양력으로 10월 23일 또는 10월 24일, 한로와 입동 사이의 절기입니다. 된서리가 내려 아침이면 땅에 하얀 서리가 앉아 있게 된다는 의미로 겨울을 준비하는 시기를 뜻합니다. 밤기온이 낮아지고 쌀쌀해지는 시기이며 추수가 마무리됨에 따라 겨울준비에 들어가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가을걷이가 한창이며 황경은 210도가 됩니다. 24절기 중 우리들 기억속에 어렴풋이 있는 절기이기도 합니다.
4. 24절기 중 겨울의 절기
19) 입동(立冬)
양력으로 11월 7일 또는 11월 8일, 상강과 소설 사이의 절기입니다. 겨울의 시작을 알리며 땅이 얼어붙는 시기라고 여기기도 했습니다. 보통 입동 때 날씨가 춥다면 그 해 겨울은 춥다고 믿기도 했습니다.
황경은 225도에 와 있고 입동 전후 일주일을 김장하기 가장 좋은 시기라고 전해져 옵니다
20) 소설(小雪)
양력으로 11월 22일 또는 11월 23일, 입동과 대설 사이의 절기입니다. 작은 눈이라는 의미이며 첫눈이 내린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소설에 날씨가 추워야 보리농사가 잘된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얼음이 얼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21) 대설(大雪)
양력으로 12월 7일 또는 12월 8일, 소설과 동지 사이의 절기입니다. 큰 눈이라는 의미이며 눈이 많이 내린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대설에 눈이 오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들고, 푸근한 겨울을 나게 된다고 믿었습니다.
22) 동지(冬至)
양력으로 12월 21일 또는 12월 22일, 대설과 소한 사이의 절기입니다. 1년 중에서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을 의미합니다. 동지에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든다고 믿기도 했다고 합니다. 황경이 270도에 위치해 있습니다.
23) 소한(小寒)
양력으로 1월 5일 또는 1월 6일, 동지와 대한 사이의 절기입니다. 작은 추위라는 뜻으로 뜻과는 다르게 실제 우리나라에서 가장 추운 절기입니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 라는 속담이 있을 만큼 가장 추운 절기에 속합니다.
소한부터 입춘이 되기 전까지 추위 대비용으로 땔감을 충분히 준비해 놓기도 하였습니다.
24) 대한(大寒)
양력으로 1월 20일 또는 1월 21일, 소한과 입춘 사이의 절기입니다. 큰 추위라는 의미로 24절기 중에서 맨 마지막에 해당하는 절기입니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이름과는 다르게 대한보다는 소한이 가장 추운 날로 인식됩니다. 대한은 겨울을 마무리하는 시기이며 황경은 약 300도가 됩니다.
이상으로 24절기의 유래와 해당하는 양력,음력 날짜 그리고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로 가지는 의미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위에도 설명하였지만, 우리나라 선조님들은 농경사회의 지표가 되는 절기를 마련하여 농사에 적극 활용하였습니다.
먼 훗날인 오늘날에는 현대인이 계절의 변화를 가늠하고 생활하는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고 있고, 절기의 정확성에 대해서 다시금 놀라고 있습니다.
무심코 흘러가는 시간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며 잊혀가는 우리 선조님들의 정신과 기개를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다음에도 보다 알찬 정보를 전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함께보면 좋은 콘텐츠 모음 ★★★
2022.08.06 - [생활정보] - 날씨예보 주간 날씨 전국 주말 날씨 8월7일~ 08월13일
2022.08.03 - [Star★人] - [8월의 신부] 손연재 결혼 신랑은 헤지펀드 한국법인 대표 금융맨
2022.02.19 - [IT정보] - 갤럭시 S22 사전예약 혜택 가격 스펙 출시일 울트라 자급제 최저가 알아보기
2022.08.07 - [생활정보] - 1005회 로또 당첨 번호 및 당첨 지역